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0

존 롤스 정의론 2025년에도 유효한가? 정의에 대한 철학적 고민은 오랜 철학사 속에서 반복되어 왔습니다. 특히 20세기 정치철학자 존 롤스(John Rawls)는 정의를 공정성이라는 개념으로 재정의하며 현대 정치철학의 지형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의 정의론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제 사회 제도 설계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실천적 이론입니다. 본 글에서는 존 롤스의 이력부터 그의 정의론이 제시한 핵심 원칙, 그리고 이 이론이 2024년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존 롤스의 철학적 배경과 생애존 보든 롤스(John Bordley Rawls)는 1921년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한 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습니다. 전쟁에서의 경험은 그에게 인간의 존엄성.. 2025. 3. 18.
유럽 VS 아시아 문명 발전 차이 (총균쇠 관점, 지리, 농업)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는 "왜 어떤 문명은 더 빠르게 발전했고, 다른 문명은 그렇지 못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해답을 시도한 책입니다. 이 글에서는 유럽과 아시아 문명의 발전 격차를 ‘총균쇠’의 관점, 즉 지리적 조건, 농업 혁명, 전염병과 가축화, 기술 전파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문명의 진보가 단순한 인종적 우월이나 문화적 열등이 아니라, 환경과 구조의 산물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지리적 환경: 가로로 긴 유라시아, 세로로 나뉜 대륙『총, 균, 쇠』에서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가장 강조한 요인은 바로 지리적 위치와 대륙의 축 방향입니다. 유라시아 대륙은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은 대륙으로, 기후대가 유사한 지역이 넓게 퍼져 있습니다. 유.. 2025. 3. 17.
자유는 축복일까?(에리히 프롬,현대사회,심리학)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는 현대인이 겪는 자유의 본질과 그로 인한 불안을 심리학적으로 통찰한 명저입니다. 이 책은 우리가 자유를 얻었음에도 왜 다시 권위와 통제에 의존하려 하는지를 파헤칩니다. ‘자유’가 무조건적인 축복이 아님을 강조하며, 현대 사회 속 자유의 그림자와 책임의 무게를 짚어보는 것이 이 글의 핵심입니다.자유가 낳은 심리적 불안우리는 자유를 갈망하지만, 정작 자유를 얻게 되면 깊은 불안에 빠지기도 합니다. 이는 에리히 프롬이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가장 강조한 핵심 주제 중 하나입니다. 그는 인간이 중세 봉건사회와 같은 강력한 권위 구조에서 벗어나면서 외형적으로는 해방되었지만, 내면적으로는 고립과 불안을 더 깊이 체감하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프롬은 중세의 인간은 사회적 역할이 고.. 2025. 3. 16.
마이클 샌댈 정의론 완벽 정리(공리주의,자유주의,공동체주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하버드대학교 정치철학 교수 마이클 샌델이 대중을 위해 쉽게 풀어낸 정치철학 입문서이자, 현대 사회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부하는 대표작입니다. 이 책은 다양한 정의론을 소개하며,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등 상반된 가치관을 비교·분석하고, 현실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마이클 샌델이 다룬 핵심 정의론들을 중심으로 그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공리주의 정의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공리주의는 벤담과 밀로 대표되는 고전적 정의 이론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정의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매우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철학처럼 보이지만, 샌델은 공리주의가 안고 있는 윤리적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 .. 2025. 3. 16.
AI 시대의 평균 무의미(데이터, 개별성, 혁신) 4차 산업혁명과 함께 AI가 일상에 깊숙이 들어오면서, 교육, 직무, 사회 전반에 걸쳐 ‘평균’이라는 개념의 유효성이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토드 로즈의 『평균의 종말』은 기존의 표준화 사고방식이 얼마나 많은 개개인의 가능성을 묻히게 했는지를 강하게 비판하며, AI 시대의 데이터 기반 사회가 개별성 중심으로 혁신되어야 함을 역설합니다. 본 글에서는 AI 기술이 ‘평균’을 어떻게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가져올 교육 및 사회 변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 기반 사회와 평균의 붕괴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에 대한 분석 방식 또한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수많은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하나의 '전형'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었다면, 이제는 각 개인의 데이터가 독립적.. 2025. 3. 15.
쓰기의 감각 해부하기(현대작가,창작법,심리) 앤 라모트의 『쓰기의 감각(Bird by Bird)』은 전 세계 작가 지망생들에게 꾸준히 회자되는 창작 입문서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글쓰기 기술서가 아닌, 삶과 심리를 반영한 '감각적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대 작가들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앤 라모트의 글쓰기 철학을 바탕으로 현대 작가들이 참고할 만한 창작법과 글쓰기 심리를 해부해 보려 합니다. 현대작가에게 미친 영향앤 라모트는 단순히 문장을 잘 쓰는 법보다는 '왜 써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중심에 둡니다. 그녀의 대표 저서 『Bird by Bird』는 특히 초보 작가들에게 글쓰기의 두려움을 직시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법을 알려주는 안내서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그녀가 강조하는 '한 문장씩 쓰기(Bird by Bird)'는 부담.. 2025. 3. 15.
반응형